과목별 시험전략
2018년도 테마특강 1주차 사전모의고사, KDS, KCS 기준의 의미와 주차별 주요 요점2018.01.07 21:23
  • 작성자 킴아카(kimaca)
  • 조회 1341

2018년도 첫 강의가 노량진 한국기술고시학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1주차 테마특강 강의의 주제는 사전모의고사 입니다. 기출문제 유형과 거의 유사한 수준에서 사전에 보는 시험입니다.

건축구조 사전모의고사 (1)회는 종합시험입니다. 국가직, 서울시, 교육청, 군무원,경력경쟁의 시험문제 유형을 종합하고 응용하여, 여러분들의 시험의 강/약 부분을 이해하는 것 입니다. 대개 5-7문제 정도 틀린 것으로 집계됩니다. 아마도, 작년도 시험 수준과 동등한 정도의 유형을 제시함으로서, 여러분들의 현재 실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2)회 모의고사는 지방직 추가시험정도의 난이도 입니다.

(3)회 모의고사는 7급 수준정도의 모의고사입니다.

시험결과 대부분 5문제 내외로 틀린 것으로 분석되며, 여러분의 수준에 따라 시험문제의 강/약이 약간 다르나, 기본서를 선 학습하신 분들과 현재 기본서 학습을 진행중이던 분들의 강/약이 약간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아마도, 기본서 수업을 2회독 이상 하신다면, 좀더 수월하게 풀수 있습니다.

그럼, 학습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킴아카 강좌의 테마특강은 한글파일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1주차 학습하고, 시험문제를 풀어 보셨으면, 향후 테마별 진행시 좀더 약한 부분을 보강하고, 강한 부분은 유지하는 학습전략이 필요합니다.

1) 사전모의고사 풀기 2)주차별 테마문제풀이 학습 3) 4주차 정도에서 다시 사전모의고사 풀어보기, 4) 8주차 종료 후 사전모의고사 풀어 보기. 즉, 동일한 지문과 내용이지만, 8주차 종료 후에 풀어볼 때, 문제가 쉽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즉, 시험 추세에 맞는 학습, 주요 골자로 나오는 시험지문, 이해를 높이는 학습과정을 통해, 8주차 정도가 완료되면, 분명, 시험의 답안, 시험의 출제의도, 자주 나오는 테마별 소스이론에 익숙하게 되어,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시험문제의 의도를 파악하고, 정답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됩니다. 그래서, 좀더 개인별 시험주제별 강/약을 파악하고, 약한부분을 보강하기 위해서 모의고사 문제풀이 단계로 진행하는 것 입니다.

주요 문제 중 현장 쟁점사항 :

1.  2방향 독립기초에 배근하는 주철근은 가장 하단에 배근, 주근이 되는 단변방향의 철근은 단변방향 전체 철근량 가운데 공식에 의해 산출한 비율만큼 유효 폭 내에 균등하게 배치한 후, 나머지 철근량을 이 유효 폭 이외의 부분에 균등하게 배치한다. 장변방향의 철근은 장변폭 전체에 균등하게 배치한다. 틀린지문입니다.

2. 부재의 폭은 휨부재 축방향과 직각으로 잰 지지부재의 폭에 받침부 양 측면으로 휨부재 깊이의 3/4을 더한 값보다 커야 한다. 틀린지문입니다.

3. 콘크리트슬래브의 유효폭은 보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각 방향에 대한 유효폭의 합으로 구해지며, 각 방향에 대한 보스팬(지지점의 중심간)의 1/8, 보중심선에서 인접보중심선까지 거리의 1/2, 보외곽선에서 슬래브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중 최소 값으로 정해진다. 틀린지문입니다.

4. 유효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콘크리트의 평균 인장응력이 0.9MPa 이상이 되도록 긴장재의 간격을 정하여야 한다. 틀린지문입니다.

5. 필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강도식은 감소한다. 틀린지문입니다.

6. 다음 내진설계 대상 구조물에 있어서 내진등급 유형이 D인 구조물은? 단, 설계스펙트럼 가속도 값 및 중요도 값에 따라 검토. 어렵다는 문제입니다.

7. 잔골재는 시방배합에서 5 mm 체를 전부 통과하는 것을 말한다. 바른지문입니다. KCS 개정 기준.

8. 철근 지름 외 동일조건일 경우 D22 이상의 철근은 D19 이하의 철근보다 정착길이를 1.5배 크게 해야 한다. 틀린 지문입니다. 그럼, 얼마가 되어야 할까요?

아마도, 쟁점사항을 정리하게 되면, 보다 확실한 내용이 정리될 것 입니다. 다음주는 구조 총론 파트에 대한 학습쟁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