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주차 테마특강 강의요점2018.02.08 23:14 | |
---|---|
|
|
테마특강도 이제, 반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시계는 무엇을 주시하고 계시나요? 공부를 하다보면, 집중이 되지 않을 경우도 있습니다. 가볍게 눈을 감고, 지금까지 공부하던 것을 생각해 보시는 것도 좋은 휴식 겸 전환점이 됩니다. 백지에 여러분의 목표를 써 보세요. 그리고, 합격, 이름을 써 보세요. 분명, 긍정의 힘이 될 것입니다. 긍정의 힘은, 여러분을 다시금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열정으로 될 것입니다. 하면, 됩니다.
이번 주 확인학습을 합니다. 가볍게 보시고, 유인물의 순서대로 정리했으니, 보시기 바랍니다. 아마도, 그냥 볼 때와 뭔가 의문점을 남길 때 다른 느낌이 올 것입니다. 여러분의 합격을 고대합니다. 합격예감! 1. 사무소의 개실형은 방 길이에는 변화를 줄 수 있으나 연속된 긴 복도로 인해 방 깊이에 변화를 줄 수 없다.(o, x)
2. 사무소의 개방형은 어떤 경우든 인공조명이 필요 없다.(O,X)
3. 사무소의 개방식 배치는 방 길이 및 방 깊이에 변화를 줄 수 있다.(O,X)
4. 오피스랜드스케이핑은 고정칸막이를 제거하나 반고정 칸막이는 유지한다.(O,X)
5. 개실형은 오픈플로아 형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공간에 많이 활용하며, 밀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O,X)
6. 사무소의 유효율 : 건물 전체 연면적기준 :( ~ ) % , 그러나 고층화 또는 냉난방 설비 도입시 임대비율이 낮아질 우려된다.
7. 사무소의 코아의 특징으로서 모든 코아 시설은 반드시 근접거리로 배치한다.(O,X)
8. 양단코어형은 전용사무소 보다는 분할임대 사무소에 많이 사용된다.(O,X)
9. 승강기 홀과 주출입구 간격 어느 정도 이격시킨다.(O,X)
10. 승강기(엘리베이터 홀)는 각 층 사무실 출입문과 직접 면하지 않토록 하며, 너무 가까이 배치하지 않는다.(O,X)
11. 엘리베이터 홀이 건물 출입구에 근접해 있지 않도록 배치한다.(O,X)
12. 엘리베이터 대수산정을 위한 노크스 계산식에서 엘리베이터가 1층에서 손님을 태우기 위한 시간을 ( )초로 한다.
13. 기준층 평면형태 결정요소 (5가지) :
14. 스모크 타워의 배기구는 ( ) 쪽에, 급기구는 ( ) 쪽에 가깝도록 설치한다.
15. 엘리베이터 약식계산 : 1대/( )제곱미터(대실면적=유효면적), 1대/( )제곱미터(연면적)
16. 엘리베이터의 대수산정은 5분간의 ( )자수를 기본으로 한다.
17. 엘리베이터의 일주시간 = 주행시간+도어 개폐시간 +승객출입시간 + 손실시간(도어개폐+승객축입시간의 약 10%)(O,X)
18. 조닝수가 많아지면 대당 엘리베이터 서비스 규모가 줄어 든다.(O,X)
19. 조닝을 할 경우 급행부의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화장실, 금고 등 이용 가능(O,X)
20. 경사로 또는 경사 규정 : 일반인(건축법,계단대치) 경사로 : 1/ ( ) 이하, 보도 경사로 : 1/( ), 장애인 경사램프 : 1/( )이하, 병원 1/( )이하, 극장 좌석의 경사정도 1/( )~1/( ) 이하, 주차장 직선램프1/( ), 주차장 곡선램프1/( ), 주차장 시작과 끝 경사 1/( )이하
21. 400대 초과하는 주차장의 경우 출입구 폭이 5.5미만이라면 반드시 3.5미터이상되는 출규와 입구를 각각 분리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주차층 통로는 일방통행으로 계획한다.(O,X)
22. 주차장에서 차로부분의 높이는 ( )m 이상(원칙), 예외적으로 주차부분 : ( )m 이상(예외)
23. 은행에서 영업장의 면적은 은행원 1인당 보통 4~5제곱미터 정도, 다만 행정업무수행에 바람직 한 조건은 10제곱미터 정도로 볼 수 있다.(O,X)
24. 은행 객장 최소폭 3.2m이사이어야 한다.(O,X)
25. 건물의 경우 은행의 규모가 커도 고객출입구는 되도록 1개소로 하고 안여닫이로 한다. (O,X)
26. 은행의 카운터는 고객 쪽에서 높이 100~110cm 폭 60~75cm, 길이 150~180cm 정도가 적당하다.(O,X)
27. 은행의 벽체 등의 구조로서 지름 16~19mm 철근을 15cm 간격으로 이중 배근한다.(O,X)
28. 은행 창구에서의 자동차 주차는 교차되거나, 평행이 되도록 한다. (O,X)
29. 백화점 스팬계획 4요소 :
30. 엘리베이터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매장 출입구에서 ( ) 배치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에스컬레이터는 매장의 ( )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 매장 전체를 쉽게 볼 수 있게 한다.
31. 백화점의 자유유선배치는 매장의 변경 및 이동이 자유롭다.(O,X)
32. 백화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반간접조명이다.(O,X)
33. 쇼핑몰의 폭은 ( )~( )m가 일반적이며, 몰의 길이는 ( )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길이 ( )~( )m마다 변화를 줌, 태양광선은 ( ), 단차는 ( )
34.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로 쾌적한 실내 기후를 유지할 수 있는 enclosed mall이 채택한다.(O,X)
35. 상점건축의 5대 광고요소 :
36. 차양(햇빛 가리개)는 손님이 있는 쪽을 어둡게 하는 역할이다.(O,X)
37. 슈퍼마켓은 출입구는 고객이 많은 쪽을 입구로 하고, 입구는 ( ), 출구는 ( ) 계획, ( )방통행으로 계획
38. 슈퍼마켓은 입구 근처에 생활 필수품인 식표품을 진열하고, 출구 근처에는 비식료품을 진열하고 계산대를 두게 된다. (O,X)
39.종합병원 : 병상이 300개 이상인 종합병원은 병상 수의 100분의 ( )이상을 중환자실 병상으로 만들어야 한다.
40. 아파트먼트 호텔은 공공부가 크고, 숙박부가 작다. 따라서, 1객실당 크기도 작아지게 된다.(O,X)
41. 바닷가 항구, 항만에 있는 호텔은 리조트 호텔이다.(O,X)
42. 숙박고객이 프런트를 통하지 않고 직접 주차장으로 갈 수 있는 동선은 관리상 피하도록 한다.(O,X)
43. “H”형 또는 “더블 H”형, “ㅁ”형 평면은 한정된 체적 속에 외기 접촉면 최소인 특징이 있다.(O,X)
제5주차 테마특강 건축구조
1. 압축지배단면 : 공칭축강도에서 최 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 압축지배 변형률 한계 ( )인 단면
2. 인장지배단면:공칭축강도에서 최 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 인장지배 변형률 한계 ( )인 단면
3. 표피철근:전체 깊이가 ( )㎜를 초과하는 깊은 휨부재 복부의 양 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
4. 활동방지벽:옹벽의 활동을 일으키는 수평하중에 충분히 저항할 만큼 큰 ( )동토압을 일으키기 위해 저판 아래에 만드는 벽체
5. 경량콘크리트계수 ( ) : 전경량 콘크리트(잔골재, 굵은 골재 모두 경량골재화) 경량콘리트계수 ( ) : 모래경량콘크리트(보통 잔골재 + 굵은 골재만을 경량골재사용)
6. 보정계수 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용 공시체는 ② 영국 150mm 입방체공시체 : 표준형의 보정계수 ( ) ③ 독일 200mm 입방체공시체 : 표준형의 보정계수 ( )
7. 콘크리트의 극한변형률이 ( )에 도달할 때 파괴되며, 그때의 강도를 ( )로 해석하고 있다.
8. 저강도 콘크리트는 고강도 콘크리트보다 더 ( ) 변형률에서 파괴된다.
9.쪼갬인장강도 시험결과를 현장 콘크리트의 적합성 판단기준으로 사용할 수 없다.(O,X)
10. KCS 구조용 콘크리트의 28일 설계기준압축강도는 ( )MPa 이상이어야 한다.
12. KCS 구조용 경량 콘크리트의 28일 설계기준압축강도는 ( )MPa 이상이어야 한다.
13. 400MPa를 초과하는 경우
14. 콘크리트 압축강도 및 철근의 항복강도가 동시에 증가할 경우 콘크리트의 탄성계수가 증가, 철근의 탄성계수는 ( )하다.
15. 콘크리트 압축강도 및 철근의 항복강도가 동시에 증가할 경우 탄성계수비는 반드시 ( )게 된다.
16. 휨재에서 철근의 설계강도(fy) : 원칙 : ( )MPa 이하, 전단 : ( )MPa 이하
17. 띠철근 또는 나선철근으로 감싸는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 )mm 이상, 철근 공칭지름의 ( )배 이상
18. 슬래브의 중심간격으로서 최대 모멘트 발생시 슬래브 두께의 ( )배 이하, ( )cm 이하
19. 피복두께 확보목적 4가지 :
20.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의 경우 보, 기둥에 있어서 피복두께는 ( )mm, 단,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 )MPa 이상일 경우 ( )mm 저감할 수 있다.
21. 전단철근으로서 스터럽은 주철근에 ( )도 이상, 굽힘철근은 ( )도 이상이어야 한다.
22. 콘크리틔 평균압축강도 fcu는 fck가 ( )MPa 이하일 경우 fck+( ), fck가 ( )MPa 이상일 경우 fck+( )로 본다.
23. 초기접선탄성계수는 초기탄성계수에 ( )을 곱한다.
24.무근콘크리트의 휨모멘트, 압축력, 전단력, 지압력의 경우 강도감소계수( )
25. 스터럿 타이 모델의 타이의 강도감소계수 ( )
25. 스터럿 타이 모델의 스트럿, 지압부, 절점부의 강도감소계수 ( )
26. 포스텐션 정착구역의 강도감소계수( )
27. 띠철근 단근 보가 있다. SD 400 철근을 사용한다. c = 100, d=300, 이때, 강도감소계수는?
28. 띠철근 단근 보가 있다. SD 400 철근을 사용한다. c = 100, d=150, 이때, 강도감소계수는?
29. 철근의 변형률이 0.004일 경우, SD400 사용, 이 구조물은 균형철근비 x 계수라고 할 때, 이 계수 값은?
30.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깊은 보는 비선형변형률분포를 고려하여야 한다. 깊은보의 설계에서 비선형변형률분포를 고려하는 대신 스트럿-타이모델을 적용하여도 좋다.(O,X)
31. 철근의 응력이 설계기준항복강도
32. 휨재의 Cb(중립축거리) 산출에서, 균형보의 경우, fy가 400MPa 일 경우, Cb는 보의 압축측 연단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중심까지 거리 d에 0.6을 곱한 값이다.(O,X)
33. 강도설계법에서 fy=400MPa, d=500㎜ 인 균형보의 중립축거리(Cb)는?
34. 복근보의 효과 4가지 :
35. 보의 복근비 공식
36. 보의 T형보 유효폭 3가지 :
27. 반T형보 유효폭 3가지
28. 콘크리트의 공칭전단강도가
29. 보의 공칭전단강도 계산에서 Vs는 Vc의 ( )배를 초과할 수 없다. 단, Vs가 Vc의 ( )배 초과시에는 최대 간격제한을 기본 간격보다 좁게 조정한다.
30. 철근콘크리트 보 설계에서 콘크리트의 공칭전단강도 Vc=
31. 철근콘크리트 보 설계에서 늑근의 공칭전단강도 Vs=
31. 보의 폭이 300mm, 보의 유효춤이 400mm, 보의 내진설계 수행시 부재단부에서 부재중앙으로 부재 높이의 2배에 해당되는 구간에 필요한 스터럽의 최대간격은?(단, 주근 : 4-D16, 스터럽 : 10, 보 유효 춤=400㎜, fck=24MPa, fy=400MPa)
32. 강도설계법에서 보의 폭이 300mm, 보의 유효춤이 600mm, 직사각형 복근보를 건물에 사용시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 øVc는? (단, fck =36MPa, fy=400MPa)(단 보통골재 사용구조)
33. 깊은보의
34. 비틀림에 대한 설계는 속이 빈(중공튜브) 부재의 입체트러스모델을 근거로 하고 있다. 비틀림 설계 안전측을 위해 보의 가운데 부분은 무시되며, 비틀림이 작용되면, 튜브의 중심선을 따라 전단흐름에 의해 저항된다.(O,X)
35. 비틀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 )MPa를 초과할 수 없다.
36. 비틀림에 요구되는 종방향 철근은 폐쇄스터럽의 둘레를 따라 ( )mm 이하의 간격으로 분포시켜야 한다.
37. 종방향 철근의 지름은 스터럽 간격의 1/( ) 이상이어야 하며, 또한 D10 이상의 철근이어야 한다.
3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처짐은 ( )고, 진동은 ( )게 된다.
39.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긴장재를 곡선으로 배치한 보는 긴장재 인장력의 연직분력만큼 부재에 작용하는 전단력(외력)을 (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휨부재에서 철근이나 긴장재를 포함한 부착 보강재의 일부 혹은 전부를 가능하면 ( ) 연단에 가깝게 배치하여야 한다.
41.프리캐스트 벽판을 사용한 구조물로서 3층 이상의 내력벽구조에 대한 최소규정으로서 종방향 철근의 간격은 ( )미터 이내
42.프리캐스트 벽판을 사용한 구조물로서 3층 이상의 내력벽구조에 대한 최소규정으로서 횡방향 철근의 간격은 내력벽 간격의 ( )배 이내
43.프리캐스트 벽판을 사용한 구조물로서 3층 이상의 내력벽구조에 대한 최소규정으로서 수직연결철근은 ( )미터 이내, 패널당 ( )개 이상
44.프리캐스트 벽판을 사용한 구조물로서 3층 이상의 내력벽구조에 대한 최소규정으로서 둘레연결철근은 모서리에서 ( )미터 이내에 설치
45.프리캐스트 벽판을 사용한 구조물로서 3층 이상의 내력벽구조에 대한 최소규정으로서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철근의 공칭강도는 ( )kN/m이상
46.프리캐스트 벽판을 사용한 구조물로서 3층 이상의 내력벽구조에 대한 최소규정으로서 수직방향 연결철근의 공칭강도는 ( )kN/m이상
47.프리캐스트 벽판을 사용한 구조물로서 3층 이상의 내력벽구조에 대한 최소규정으로서 둘레방향 연결철근의 공칭인장강도는 ( )kN이상
오늘, 확인학습 한 것들을 다시금 보시고, 테마특강 강좌 자료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늘, 여러분의 합격을 고대합니다. 이론이 부족하신 분은, 기본서 학습강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본이론은 기초이고 뼈대이고 한편은 내외장재 입니다. 기본이론을 탄탄하게 하시고, 문제를 풀면 좀 더 쉽고, 재미있게 문제의 답이 보일 것 입니다. 여러분의 합격을 위해, 오늘도, 킴아카 강좌는 최선을 다할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합격예감! |